JS

웹 페이지 렌더링 과정

ryeonng 2024. 7. 23. 19:26

 

웹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렌더링하는 과정

웹 페이지를 렌더링하는 과정은 대체로 다음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1. HTML 파싱(Parsing) :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받아들이면, 이를 파싱하여 DOM Tree를 생성한다.
  2. CSS 파싱(Parsing) : 브라우저가 CSS를 파싱하여 CSSOM Tree를 생성한다.
  3. 렌더 트리(Render Tree) 생성 : DOM Tree와 CSSOM Tree를 결합하여 렌더 트리를 생성한다.
  4. 레이아웃(Layout) : 렌더 트리를 기반으로, 각 요소의 크기와 위치를 계산한다.
  5. 페인팅(Painting) : 렌더 트리를 기반으로, 픽셀로 변환하여 화면에 그린다.

 

JavaScript와 HTML 파싱

JavaScript는 웹 브라우저에서 HTML 문서를 파싱하는 도중에 실행될 때, 그 파싱 과정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는 JavaScript가 DOM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JavaScript 코드가 실행될 때, 웹 브라우저의 HTML 파서는 해당 스크립트가 완전히 실행될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 이런 이유로, 웹 개발자들은 종종 <script> 태그를 문서의 하단에 배치하거나, asyncdefer 속성을 사용하여 스크립트가 비동기적으로 로드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웹 페이지의 렌더링이 블로킹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더 빠르게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HTML 파싱
웹 브라우저가 HTML 문서의 내용을 이해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브라우저는 HTML 문서를 받아들여, 해당 문서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트리 구조인 DOM (Document Object Model) 트리를 생성한다. 여기서 각 HTML 태그는 DOM 트리의 노드에 해당하며, 이 트리 구조를 통해 자바스크립트 등 다른 기술들이 문서의 구조와 내용에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게 된다.

HTML 파싱 과정

  1. 바이트 단계 : HTML 문서를 네트워크를 통해 받아오면, 이를 바이트 단위로 읽어들인다.
  2. 문자 단계 : 바이트를 문자로 변환한다. 이 변환은 문자 인코딩에 따라 진행된다.
  3. 토큰 단계 : 문자열을 HTML 토큰으로 변환한다. 이때 HTML 토큰은 태그, 속성 등의 HTML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4. 노드 단계 : 토큰을 Node 객체로 변환한다. 이 Node 객체는 DOM 트리의 한 부분이 된다.
  5. DOM 트리 구축 : Node 객체들이 연결되어 구조적인 트리 형태인 DOM 트리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DOM 트리를 통해 자바스크립트는 HTML 문서의 각 요소에 접근하고, CSS는 스타일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웹 페이지가 완성된다.

 

시나리오 코드 2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Non-Blocking Example</title>
</head>
<body>
    <p>Loading...</p>
    <p>웹 페이지 렌더링 과정과 script의 관계를 확인해보자</p>

    <script src="js/heavy-script.js"></script>
</body>
</html>
/* heavy-script.js */

window.addEventListener("load",function() {
    
    
    console.log('start script');
    
    // js 현재 시간 정보 객체 : Date
    let startTime = new Date().getTime();
    let delay = 6000; // 6초
    
    // 3초 동안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을 블로킹 해보자.
    while(new Date().getTime() < startTime + delay) {
        // 3초 동안 루프 동작함
    }
    
    console.log('end script');
    
});

 

'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이벤트 처리 - addEventListener  (0) 2024.07.26
JS 이벤트 처리 - 기본  (2) 2024.07.24
Browser Object Model  (0) 2024.07.23
Document Object Model  (0) 2024.07.23
함수의 이해와 활용  (0) 2024.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