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30

조건문 if

조건문 if 프로그래밍에서 특정 조건을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다른 실행 흐름을 따르도록 하는 구문 조건문을 사용하면 주어진 조건이 참(true)일 때와 거짓(false)일 때 수행할 작업을 다르게 지정할 수 있다. 예시 "재산이 9천만원 이상이면 11만원을 세금으로 낸다. 그렇지 않으면 세금을 내지 않는다” 만약에 (재산이 9천 이상이면) { 세금을 11만원 낸다 } 그렇지 않으면 { 세금을 내지 않는다 } if문 문법 if(조건식){ 수행문; // 조건식이 '참'인 경우에(조건에 맞는 경우) 수행문이 수행됨 } // 조건식이 '참'이 아니면(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 수행문이 수행되지 않음 package basic.ch04; // 변수명을 작성할 때 -- 약속(권장사항) --> 코딩 컨벤션 // i..

Java 2024.04.11

삼항 연산자(조건 연산자)

조건식의 결과가 true(참)인 경우와 false(거짓)인 경우에 따라 다른 결과가 수행 if (조건문)을 간단히 표현할 때 사용 package basic.ch03; // 수입하다, 가지고 오다 import java.util.Scanner; /** * * 삼항 연산자(조건 연산자) * int num = 조건식 ? 결과1 : 결과2 * */ public class Operation8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입력 받은 두 수 중에 큰 수를 출력하세요"); // 자바 특징 --> 풍부한 라이브러리를 지원 한다 // JDK --> 표준 라이브러리(자바 개발자들이 만들어준 기능, 도구) 를 사용해보자. // 데이터 타입( 특..

Java 2024.04.11

연산자(관계,논리,빠른평가,삼항)

관계(비교)연산자 이항 연산자 연산의 결과가 true(참), false(거짓)으로 반환 됨, 비교연산자 라고도 함 조건문, 반복문의 조건식으로 많이 사용 됨 관계 연산자를 주어로 바라보고 하는 말이 사실인지 거짓인지 확인 하자. package basic.ch03; /** * 관계,비교 연산자 * 연산의 결과 값이 무조건 true, false 반환 된다. * */ public class Operation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1 = 5; int num2 = 3; // 관계 연산자를 주어로 바라 보자 boolean value = ( num1 > num2 ); System.out.println(value); System.out.println..

Java 2024.04.11

연산자(복합 대입 연산자)

복합 대입 연산자 대입 연산자와 다른 연산자가 함께 쓰임 = + , - , * , % +=, -=, *=, %= 복합 대입 연산자는 대입 연산자 앞에 연산자를 작성해주어야 한다. package basic.ch03; /** * 복합대입연산자란 * 대입 연산자와 다른 연산자가 함께 쓰이는 것(산술연산자) * */ public class Operation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core = 5; //score += 10; //System.out.println("점수 확인 : " + score); // 도전 연습 --> score += 10; // score 변수에 접근해 기존에 존재하는 값에 더하기 10을 해주세요 // 15 = 5 + 10 //..

Java 2024.04.11

연산자(증감, 감소)

연산자(증감, 감소) 단항 연산자 변수의 값을 오직 1 더하거나 1 뺄 때 사용 연산자가 항의 앞에 있는가 뒤에 있는가에 따라 연산 시점과 결과가 달라짐. 문장 (statement)의 끝 (;) 을 기준으로 연산 시점을 생각해야 함. package basic.ch03; /** * 증감,감소 연산자 * 변수에 접근해서 그 값을 조직 1증가 또는 1감소 시킨다. */ public class Operation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value1 = 1; //value++1; ++value1; System.out.println(value1); // 변수에 접근해서 1 감소 시키기 int value2 = 1; value2--; System.out.pr..

Java 2024.04.11

연산자(항, 대입, 부호)

항(Operands)과 연산자(Operators) 연산 과정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나 값은 항(Operands). 하나 이상의 항을 사용하여 특정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는 연산자(Operators). 대입 연산자 (Assignment Operator) : ‘ = ‘ 특정 값이나 다른 변수의 결과를 변수에 할당(대입)하는 데 사용 대부분의 이항 연산자 중에서 실행 우선순위가 가장 낮아, 대부분의 연산이 이루어진 후에 마지막으로 값이 할당. (연산 순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기본 형태는 왼쪽 변수 = 오른쪽 표현식(값, 변수, 또는 계산식) 부호 연산자 : ‘ +, - ‘ 변수의 부호를 변경하거나 유지하는 단항 연산자 + 연산자는 변수의 부호를 그대로 두고, - 연산자는 변수의 부호를 반전시킨다. 변수의 실제 ..

Java 2024.04.11

형 변환(type casting)

형 변환(type casting) 프로그래밍에서 하나의 데이터 타입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는 과정.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암시적 형변환과 명시적 형변환. 자동형변환, 강제형변환 package basic.ch02; /** * 형 변환이란? * 데이터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경 하는 것 * 자동 형변환, 강제 형변환 */ public class TypeConversion { // 코드의 시작점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ntDataBox = 100; // 4byte double doubleDataBox; // 8byte // 100 doubleDataBox = intDataBox; // 작은 상자에서 큰상자로 들어가는 개념이다...

Java 2024.04.11

상수(Constant)

상수(constant)란 뭘까? 변하지 않는 수, 반드시 값이 초기화 되어야 하고 한번 초기화 되면 변경할 수 없게 하는 메모리 공간 ex) 원주율 3.14, 1년의 12개월, 최대 사용 가능자의 수 등을 표현할 때 사용\ 자바에서 상수를 선언하는 방법 - final 예약어 사용 public class Constant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inal int MAX_NUM = 10; final int MIN_NUM; MIN_NUM = 0; System.out.println(MAX_NUM); System.out.println(MIN_NUM); // MAX_NUM = 100; } } 상수를 사용하면 코드의 의미가 명확해지고, 나중에 값을 변경해야 ..

Java 2024.04.11

변수(Variable)와 자료형(Datatype)

data란? 사실을 나타내는 수치 기온, 습도, 날씨, 문자, 문자열 등등 각각의 수치들이 데이터가 됨. 컴퓨터의 자료 표현 방식 컴퓨터는 0과 1로만 데이터를 저장함. bit (1비트) : 컴퓨터가 표현하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 2진수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크기 byte (바이트) : 1byte = 8bit 2진수와 10진수 1byte(8비트)로 5를 표현해 보면? 변수(Variable)란? 값(Value)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을 의미 말 그대로 '변하는 수' 변수는 언제 쓰나요? 프로그램에서는 항상 변하는 값을 나타낼 필요가 있음 ( ex. 학생의 성적, 합계, 게임의 레벨, 회원 주소 등등...) 표현하려는 수에 맞는 데이타 타입(자료형)을 이용하여 변수를 선언 public cla..

Java 2024.04.09